전기차 전용 소화기를 사지 말아야 하는 이유
이런 전기차 전용 소화기라고 어무마무시하게 비싸게 파는 걸 인터넷에서 본경우가 있을 건데..
소방청에서는 전기차 전용 소화기를 사지 말 것을 권유하고 있다..
1차 화재후, 2차 폭발 위험으로 소화기만으로 불을 끌 수가 없기 때문에
전기차 전용이라는 소화기도 없을 뿐 더러
소방청 자체에서 인증을 안 해주니
몇 십만원짜리 소화기 소용 없으니까, 상술에 넘어가지 마라
전기차 전용 소화기를 살 계획이 있는 사람을 아래에 것을 사면 된다
꼭 이런 차량 인증이 꼭 적힌 소화기를 사라
이건 일반 차량에도 적용 되는 거임.
전기차도 배선에 의한 화재가 날 수 있어서, 이를 소화하기 위한 소화기가 필요해
10000~20000원이면 구입할 수 있는 소화기만 비치하면 끝이다
전기차 소화에 효과가 좋고, 시험 자료도 있다
이런 거, 다 소용이 없다..
전기차의 화재 후 폭발 위험성은 소화기만의 소화로는 씨알도 먹히지 않는다
전기차는 소방관이 와도, 이렇게 물받이를 깔아둔 다음, 물을 들이부어
폭발 및 화재를 최소화 시키는 방법 밖에 없어..
소방관들도 뒤로 빠지는 방법 밖에는 없음..
전기차는 대형 화재가 나면, 그 즉시 터질 확률이 큰 시한 폭탄이니까
임시적인 소화만 행한 뒤
바로 전기차에서 멀리 떨어져라, 남의 안전도 중요하지만
가장 우선시 해야하는 건, 나의 안전이다..
올해도 소방 안전 정기 교육을 받은 경험자의 조언이니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꼭 급속 충전 너무 자주하지 말고
과충전은 최대한 피해
전기차를 타고 다니는 유게이에게 항상 안전이 따르기를
애초에 전기차 전용이라는게.. 소방청에서 두질 않고 있음
소화기는 어느 것이던 소화능력이라는게 있고 한계가 있는 제품임.
소화기로 초기 진화 실패하면 할 일은 추가 소화기를 가져오는게 아니라 119신고, 대피, 주변인들에게 알림 같은 행동이다.
특히 셋 중 제일 중요한건 대피.
119 신고는 화재 발생 즉시 하는게 좋기는 하다만, 초기 대응을 놓칠수 있기 때문에 본인이 혼자라면 상황에 맞게 대응하고
둘 이상이면 하나는 소화시도 하나는 119 신고다.
물론 어느 경우에나 소화기 소화범위 이상이다 싶음 대피가 최우성
리튬배터리는 발열원, 연료, 산소를 모두 내부에 포함하고 있음
따라서 한번 불이 붙었다면 다 탈때까지 진화할 방법이 사실상 없고 불이 옮겨붙는걸 막는게 할수있는 최선의 조치임
전기차화제시에는 ㄹㅇ 일단 최소한의 소지품이랑 차량대피등 하나 들고 빨리 튀는게 상책이다 일개 개인이 끌 수 있는 화재가 아님
저 은색깔은 보니까 서버실 같은 곳에 쓰는 하론소화기 인거 같은데 효과는 좋기야 한데 리튬배터리가 터질거면 저런걸로는 어림도 없다
저 은색 소화기는 하론 소화기라고 할로겐 화합물 가스로 불을 끄는거임
분말소화기와는 다르게 잔여물이 없어서 전기설비 같은데 사용하는거지 전기차용이 아님 판매자가 사기를 치고 있네
도저히 끌수가 없어서 자동차를 아예 호수에 수장시켜놨는데도 그래도 불이 안껴저서 호수위로 꿇는 물이랑 연기 계속 올라오던 사진이 생각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