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정의의 버섯돌 | 12:21 | 조회 58 |루리웹
[17]
리사토메이 | 12:17 | 조회 72 |루리웹
[3]
파괴된 사나이 | 12:09 | 조회 12 |루리웹
[18]
aespaKarina | 12:21 | 조회 70 |루리웹
[10]
라스트리스 | 12:15 | 조회 28 |루리웹
[26]
아니메점원 | 12:20 | 조회 47 |루리웹
[5]
클라크 켄트 | 25/08/25 | 조회 37 |루리웹
[33]
게이 | 12:20 | 조회 31 |루리웹
[4]
12345678901 | 12:14 | 조회 4 |루리웹
[20]
게이 | 12:13 | 조회 39 |루리웹
[5]
29250095088 | 25/08/25 | 조회 28 |루리웹
[5]
행복한강아지 | 12:08 | 조회 60 |루리웹
[15]
참외아래참호 | 12:13 | 조회 28 |루리웹
[9]
게이 | 12:09 | 조회 47 |루리웹
[24]
게이 | 12:14 | 조회 70 |루리웹
"저 감독 작품 중에서 대중성이 있는 편" 과 진짜 "대중에게 먹히는 영화"는 다르지...
그 당시는 코로나 때문에...
그래도 박찬욱 영화 중에서는 가장 대중적이라 생각하는 작품임
솔직히 재밌고 진짜 잘 만들었지만
흥행할 장르냐하면 글쎄
극장업체 새끼들부터 족쳐야지.
이 영화는 일단 주제부터가 좀 불편한 구석이 있는 영화라 잘 만든거랑 별개로 호불호가 갈리는 소재임..
영화가 암만 잘만들었어도 일단 보지 않음 모르잖아..
보고싶게 만드는 마케팅이 부족했던게 문제..
영화관은 비싼데다 서비스 질은 예전만 못하고
영화는 집에서 넷플릭스로 보자는 상황이 돼 버려서 영화관에서 개봉해도 부진할 수밖에 없어진 게 큰 듯.
표값만 싸지면 많이들 볼꺼야 하지만 표값을 그들이 내릴까?
난 이 영화 정말 재미없게 봤는데
아직도 모르겠음
저건 제목때문에 거른 사람 많음, 헤어질 결심 딱 봐도 걍 로맨스 영화 느낌이라
작품성이랑 대중성은 전혀 다른 이야기 같은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