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게 실시간 커뮤니티 인기글
종합 (4546778)  썸네일on   다크모드 on
chuhighb.. | 25/10/04 22:49 | 추천 24 | 조회 1679

[단독]‘서울 쥐’ 5년 만에 두 배 급증 +88 [3]

보배드림 원문링크 https://m.bobaedream.co.kr/board/bbs_view/best/902817

IMG_0827.jpeg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49/0000322612?sid=102

 

 

 

전문가들은 날씨와 도시 개발로 인해 출몰이 잦아졌다고 분석합니다.  

[양영철 / 을지대 보건환경안전학과 교수]  
"재개발, 재건축이 많아지니까요. 소음 진동 이런 것들 때문에 생식이 원활하지 않고. 배회하는 거예요."  

서울시는 하수도 정비와 음식물 쓰레기 관리를 통해 쥐 출몰을 막을 계획입니다.



개체수 조사를 한 건 아니고, 쥐 관련 민원이 두 배 늘었다는 얘기입니다만, 

이 또한 개체수 증가의 간접 지표가 되죠.

실제로 지난 정부 초기부터 여의도, 한강 변 아파트 등지에서 

쥐떼 출몰한다는 소식이 많았구요. 


온난화도 문제가 되고, 

재개발, 재건축도 쥐떼 발생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만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서식 환경과 먹이 공급일 가능성이 높죠.

그리고 방역 소홀도요. 


그런 점에서 서울시가 하수도 정비와 음식물 쓰레기 관리를 통해 

쥐 출몰을 막는다는 건 괜찮은 포인트이긴 한데..

 

 

과연 쥐들의 주 먹이가 현재 어쨌든 관리가 되고 있는 음식물 쓰레기일까요, 

아니면..

 

 

 

 

IMG_0829.jpeg

 

 

IMG_0830.jpeg

 

https://m.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71252050

 

 

IMG_0828.webp

 

 

 

전혀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캣맘들의 길고양이 사료일까요? 


이건 심지어 공공급식소라는 미명 하에 

지자체가 세금 투입하며 권장하기까지 하고 있죠.


쥐 뿐만 아니라 너구리 등 야생동물을 끌어들이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고, 

무엇보다 길고양이 개체수 증가에 지대한 역할을 하고 있는데 

이를 통제하지 않고 

이미 어느 정도 관리되고 있는 음식물쓰레기만 관리한다는 건 

큰 실효성이 없어보입니다.


외국처럼 길고양이 등 동물 급여 행위에 대한 규제, 처벌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봅니다.

 

 

 

IMG_0833.jpeg

 

[신고하기]

댓글(3)

이전글 목록 다음글

6 7 89 10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