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감자를 많이 심어도 굶주리는 이유
감자는 원래 남미 안데스 고산지대에서 자라던 작물이라 북한같이 춥고 척박한 곳은 그야말로 최적의 재배장소입니다.
그래서 북한은 정부 차원에서 감자를 밀어주지만, 정작 그럼에도 굶주리는데 이유는 감자 자체의 한계가 큽니다.
먼저 병충해가 약하단 것으로, 감자는 주로 씨감자의 눈만 심는데 그건 인간으로 비유하면 쌍둥이 내지는 클론이나 다름없어서 한번만 병이나 벌레가 돌면 막아내지 못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씨감자의 눈만 심는 이유는 재배 후 감자꽈리에서 나오는 씨앗으로 감자를 심으면 감자의 맛이나 크기가 이전만 못하기도 하고요.
두번째는 가공과 운송, 보관이 매우 어렵다는 겁니다. 밀이나 쌀, 보리는 가루를 내서 영구적으로 보관할 수 있고 가루도 쓸데가 무궁무진하지만 감자는 아닙니다. 감자전분은 쓸 데가 한정되어 있고, 그냥 보관하자니 싹이 생겨 독이 올라와 못 먹어요. 거기에 크기도 커서 운반도 귀찮죠. 그래서 원산지인 안데스 산맥의 원주민들도 감자만 먹기보다 옥수수나 고구마, 퀴노아, 카사바, 콩 등 각종 작물을 같이 키워야 했어요.
마지막으로 수확이 어렵단 점입니다. 밀이나 쌀은 그냥 낫으로 이삭만 취한 후 탈곡하거나 빻아버리면 되지만 감자는 땅을 파서 수확해야 해서 노동력이 많이 듭니다. 군대에서 가장 힘든 게 참호나 진지 구축한다고 땅파고 나라시하는 거란 걸 생각하면 큰 단점이죠.
그래서 감자는 주식으로 먹으려 기르기에는 부족하고 부식이나 구황작물로나 어울리죠.
그걸 모르고 무작정 밀어붙이니 문제가 됩니다.
물론 한국은 그런 걸 아니까 강원도나 경상도 산간지방에서 특화작물로 기르기도 하고, 저런 감자 자체의 문제점을 해결할 만큼 농업 기술력과 생산력, 그리고 교역으로 별 문제 없습니다.
옥수수 심었다가 땅지력 다 빨려서 다음농사도 또 못짓고 반복이라던데
황해평안일부를 제외하면 제대로 쌀농사할 땅이 없는게 제일 크지
까놓고 말해서 강원도도 쌀농사할 땅이 없는거지 하는데는 지장없고
남한전역이 쌀농사가 가능한데 북한은 한정되어 있고 나머지땅중에 함경도는 농사대부분이 빡센
산지밖에 없는 땅이라서 더
왜 감자 안키우고 쌀만 키웠냐고 헛소리하는 짹짹이 짤
차라리 밀농사가 더 나을지도 모를 지경임
밀이 의외로 척박한 환경에서도 꽤 자라는 편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