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멸의 칼날 최종보스전이 다른 소년만화와 다른점
옛날 어딘가의 블로그에서 읽은 건데
'귀멸의 칼날은 강함 그 자체에 대한 동경이 없다.
렌고쿠의 회상이 대표적인데, 강함에는 책임과 의무가 따른다는 이야기를 매번한다.
그리고 목적도 없이 그저 순수하게 강함을 추구해버린 자는타락한다. 아니면 최소한 악으로 그려진다'
라는 말이 가끔씩 떠오른다.
ㄴ 여성작가스러움이 그런 곳에서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남성작가였으면 주인공측이 보다 더 강함을 추구하고
라스트보스를 이런 저런 방식으로 약체화시켜 쓰러트리는 게 아니라
라스트보스에게서 본래의 힘을 끌어내게한 뒤 그 이상의 힘을 각성시켜서 쓰러트렸을 거예요
그치만 카즈처럼 됐으면 못이기잖아요..
작가가 남자였으면 카즈처럼 완전체가 된 무잔에게 모두 당할 위기상황.요리이치의 도에 남아있던 영혼과 공명하며 최후의 호흡을 쓰며 물리치는 전개가 나왔을라너..
그런데 아카자는 환경이 그지롤이라 타락한것도 있지 않나
물론 환경이 그지같았다고 그난리첬다는건 변명으로도 안보는게 귀칼이긴한데 정말 쪼끔이라도 정상적으로 돌아가는 부분이 있었다면 어떻게든 그냥 꾹 참고 살면서 렌고쿠처럼 됐을지 어케알음
검도도장을 혈귀로 치환하면 주 스토리 하나 뚝딱 나오긴하지
이누야샤도 정점은 이미 셋쇼마루로 정하고 남성 작가와는 다른 접근 법이 있을수 있다는 것도사실인데..
근대 그 작가님들 말고 여성들은 다 이기고 제일 강한놈을 좋아하잖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