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게 실시간 커뮤니티 인기글
종합 (4512168)  썸네일on   다크모드 on
별의연금.. | 25/09/15 16:31 | 추천 15 | 조회 103

미드십 엔진 자동차가 핸들링이 좋은 이유: 무게 중심의 마법 +55

보배드림 원문링크 https://m.bobaedream.co.kr/board/bbs_view/best/894349

 

자동차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다면, 고성능 스포츠카의 엔진이 대부분 운전자 뒤에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을 것입니다. 엔진을 조수석 뒤, 그리고 뒷바퀴 차축 앞에 두는 '미드십' 구조는 핸들링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차량에 이상적인 설계입니다.


물리학이 말해주는 미드십 엔진의 장점

 

 

미드십 엔진이 핸들링에 좋은 이유를 이해하려면 먼저 **'무게 이동(Weight Transfer)'**의 개념을 알아야 합니다. 자동차가 가속, 제동, 코너링을 할 때 차량의 무게는 끊임없이 앞뒤, 좌우로 이동합니다.


가속 시: 무게가 뒤로 이동합니다.


제동 시: 무게가 앞으로 이동합니다.


코너링 시: 좌회전할 때 무게는 오른쪽으로, 우회전할 때 무게는 왼쪽으로 이동합니다.


타이어는 도로와 차량을 연결하는 유일한 부분이며, 타이어에 가해지는 무게(수직 하중)가 클수록 접지력이 커집니다. 무게 이동을 잘 활용하면 코너링 시 접지력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일반 승용차는 엔진이 앞에 있어 정적 무게의 상당 부분이 앞바퀴에 쏠려 있습니다. 이 경우 앞바퀴의 접지력이 뒷바퀴보다 커져 **언더스티어(앞바퀴가 미끄러지는 현상)**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반면 미드십 차량은 무게 중심이 차량 중앙에 있어 앞뒤 무게 배분이 이상적입니다. 특히 뒷바퀴 굴림(후륜 구동)의 경우, 가속 시 뒷바퀴에 적절한 무게가 실려 뛰어난 접지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관성 모멘트: 회전을 돕는 물리학

 

 

미드십 엔진의 또 다른 장점은 **'극관성 모멘트(Polar Moment of Inertia)'**를 낮춘다는 점입니다. 이는 물체가 회전할 때 저항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입니다. 자동차에서는 엔진과 같은 무거운 부품을 차량의 중앙에 집중시킬수록 회전이 쉬워집니다. 마치 역기(바벨)의 무거운 추가 손에 가까이 붙어 있을수록 돌리기가 쉬운 것과 같습니다.


미드십 엔진은 엔진의 무게를 운전석 바로 뒤에 위치시켜 차량의 질량을 중앙에 집중시킵니다. 이는 차량이 코너를 돌 때 회전이 부드럽고 민첩하게 이루어지도록 돕습니다. 특히 포르쉐 박스터나 카이맨처럼 수평 대향 엔진을 사용하는 미드십 차량은 엔진의 높이와 길이가 짧아 무게 중심을 더욱 낮추고 극관성 모멘트를 최소화할 수 있어 뛰어난 핸들링을 자랑합니다.


완벽한 것은 없다: 미드십 엔진의 한계

 

 

물론, 미드십 엔진만이 완벽한 핸들링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포르쉐 911처럼 엔진이 뒤에 있는 '리어 엔진' 차량은 가속 시 탁월한 접지력을 얻지만, 무거운 엔진이 뒤에 있어 회전 시 **오버스티어(뒷바퀴가 미끄러지는 현상)**가 발생할 위험도 있습니다.


또한, 로터스 에미라 V6처럼 미드십 엔진이지만 무게 배분이 리어 엔진 차량과 유사한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엔진 위치 외에도 타이어, 서스펜션, 무게 중심 등 수많은 요소들이 핸들링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결론적으로, 미드십 엔진 차량은 뛰어난 핸들링 성능을 위한 이상적인 레이아웃이지만, 좋은 드라이버가 아니라면 미드십 차량이 자동으로 더 나은 운전자를 만들어주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핸들링을 최우선으로 하는 차량에 미드십 엔진이 적용되는 것은 그만한 이유가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https://www.motor1.com/features/771613/motor101-mid-engine-cars-handle-better/

[신고하기]

댓글(0)

이전글 목록 다음글

1112 13 14 15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