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오렌지색이호박색 | 10:49 | 조회 1941 |보배드림
[6]
콩Gspot쥐 | 10:47 | 조회 2890 |보배드림
[3]
늑대혀늬 | 10:17 | 조회 1481 |보배드림
[17]
rgti | 11:10 | 조회 867 |SLR클럽
[1]
복에드립 | 10:12 | 조회 936 |보배드림
[12]
alltopics | 11:05 | 조회 1320 |SLR클럽
[6]
초고속즉시강등머신 | 08:53 | 조회 0 |루리웹
[0]
닉네임변경99 | 11:05 | 조회 0 |루리웹
[7]
aespaKarina | 11:14 | 조회 0 |루리웹
[3]
루리웹-4194622151 | 11:13 | 조회 0 |루리웹
[25]
오메나이건 | 11:15 | 조회 0 |루리웹
[19]
Prophe12t | 11:13 | 조회 0 |루리웹
[13]
행복한강아지 | 11:15 | 조회 0 |루리웹
[4]
요시키군 | 11:15 | 조회 0 |루리웹
[13]
하얀나방 | 11:06 | 조회 0 |루리웹
그러니깐 퍼가요 퍼가요 퍼가요를 엄청하면 돈이 되는구나
그래서 지금도 서양 지폐에 재무부 장관이랑 중앙은행 총재 서명이 들어가는건가?
그래서 "신용"이 매우 중요하지
빙의물이 편한 이유
대충 도량형, 언어, 지폐 같은 거 창작물이니까 편의적으로 넣었음~ 이라는 설정으로 퉁칠 수 있음
재국이라던가 통일된 왕국형태도 그렇지. 그 전제가 없으면 불가능한 형태니.
무거우니 종이로 돈을 만들자...라고 하니 그거 좋은 생각이다!
라는 식으로 하는 경우가 종종 보였죠....
숨은 실력자에서는 약간 지폐에 대해서 잘 나왔고요.
근데 슬슬 분열된 제국에서 발생한 통일성이라는 것도 있을만한데 너무 사족이라 안 넣는 듯 하다...
근데 가벼운 경제 만화 같은거 보면 진짜 그런 설명이 종종 보여서;; 저도 반쯤은 그렇게 믿었어요. 대신 국가가 인정하는 형태라는 점만 붙었고요.
"이 서명 중 한명은 돈을 내겠지"
"아직도....인간을....믿나?"
애초에 작품이 경제 메인이 아니라서 작가가 저걸 알던 모르던 그냥 가볍게 넣고 넘어가는거일수도 있음ㅋㅋㅋ
저걸 구구절절 묘사하면 장르나 작품 방향성이 달라지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