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직무유기 죄송합니다.
그간 이것저것 찍은 내용이 많은데, 정리를 못 해 올리지를 못 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 전에... 생존보고 겸,
강원 영동지역, 그 중에서도 강릉지역의 가뭄 상황을 한번 알아 보겠습니다.
현재 거주중입니다.
ㅌㅌ
그만 알아보.... 아, 아닙니다.
그냥 빨간다라이 사진 한장으로 "-끝-" 할 수도 있겠습니다만...
최대한 차근차근 설명 드리겠습니다.
여긴 현재 아파트 지하 물탱크로 들어오는 상수도 밸브가 잠긴 상태입니다.
시간 간격을 두고 공급을 열어주긴 하는데, 이게 뭐 며칠에 한번 단위씩인지라,
결국 아파트 자체적으로, 탱크가 완전히 비어서 펌프가 공회전하는 사태를 막으려고,
주민들에게 물을 시간제로 자꾸만 끊어가며 버팁니다.
그러다 탱크 수위가 20프로 이하로 내려가면, 관리사무소에서 SOS를 치고,
살수차가 부지런히 물 담아와서 물탱크에 아쉬운대로 좀 부어주는 시스템(?)이구요.
이래저래 물이 끊어진 동안은 결국 '빨간다라이 버퍼'에 채워둔 물로 변기 내리고,
세수와 설거지를 합니다.
물에서 소독약 냄새가 너무 심하게 나는 바람에 쉽게 음용은 못 합니다.
먹는물은 여러 지자체, 기관 기업 등에서 지원해주신 생수를 배급받습니다.
지원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이제 나름대로의 원인을 좀 살펴보자면...
초장부터 화질 안 좋아서 죄송합니다.
2002년 태풍 루사에 이어, 요즘 또 전국에 널리 알려진 바로 그 오봉저수지 입니다.
(그 땐 물이 넘쳐서 댐 무너진다고 지랄이더니, 이번엔 반대로...)
구체적 데이터가 아닌 심리적 체감상으론 저수량이 많이 떨어진지 3개월 정도 된 것 같습니다.
"거의 매년 이맘때쯤 저수량 부족 얘기가 나오는데, 올해는 좀 심하다" 싶은 느낌으로 시작했는데요...
이 사단이 나 버린 겁니다.
실제 저수율 시계열 데이터를 살펴 보면,
대충 이런 식입니다. (어르신들 눈 침침하신데 작은 글씨라 죄송합니다)
2023, 2024년 자료를 보시면 ... 매년 6월~8월 무렵엔 저수율이 30프로대까지 내려갔는데,
관계자들은 아마도 '그냥 매년 이런다' 싶었던 모양입니다.
즉, 이러다가 올해도 그냥 대~충, 태풍이든 뭐든 8~9월엔 비가 올 거라고 생각한 거죠.
이 사단이 난 이유 첫 번째,
7~8월은 관광객과 농업용수 수요가 많은 시즌임에도, 말로만 대충 물 아껴주세요~ 하면서,
매년 똑같이! 손 놓고! 대응을 아예! 전혀! 안 했습니다.
아니, 상수원을 여기 저수지에만 몰빵한 동네가 저수율 매년 30프로대까지 내려갔다 올라오면,
좃나게 큰 호텔만 해도 벌써 몇 개가 더 들어오고, 연간 관광객이 몇 수백만명이 더 늘었는데,
손 놓고 있지 말고, 자꾸 거론되는 속초 사례처럼 치수(治水)에 훨씬 신경써야 했던 게 아닌가?
... 싶습니다만, 더 쓰다간 시장님 욕에 분량을 너무 할애할 것 같아서 그만 하겠습니다.
그 씨바, 경포호에 분수나 처 만드....
진짜 그만 하겠습니다.
사실 뭐 이래저래 동네 꼬라지 욕 하지만서도, 또 좀 운빨 나쁘다고 생각하긴 하는 게...
이 사단이 난 두 번째 이유...
다른동네 어디든 다 비가 와도, 딱 여기에만 신기하리만치 비가 안 옵니다.
어르신들도 이쯤되면 "권**이가 어디다 대고 큰절해서 천벌을 받은 거 아니냐"고들 하십시다.
와 나 씨바, 복면골프왕이나 처 찍고 지역구엔 이 지랄이 나도 코빼기도 안 비치....
죄송합니다. 더 쓰다간 의원님 욕에 너무 분량을 할애할 것 같아서 그만 하겠습니다.
그 씨바, 깜빵 들어앉은 느그 베프란 놈 ...
진짜 그만 하겠습니다.
길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급수지원차량은... 군용차 입니다.
그 다음으로 전국에서 지원/동원된 온갖 살수차들, 소방차 순으로 많이 보입니다.
다들 정말, 정말 고생들이 많으십니다.
많이들 말씀하시길, 밑빠진 독에 암만 물 실어다 부어봐야 별 효과 없다고들 하십니다만,
워낙 장비와 인력들이 많이 투입된 게 보이니, 지역민들 절수 유도에 심리적 효과가 큽니다.
당장 저부터도 지원해주는 분들에게 너무 미안해서, 물을 거의 안 쓰다시피 하고 있습니다.
진짜 정말, 너무 죄송합니다.
그리고 정말, 너무 고맙습니다.
제가 뭐 지역민들을 대표하진 못 하겠습니다만...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아마 도움받는 사람들 다들 비슷한 마음일 겁니다)
시에선 이제와서 뒤늦게 .... 저수지 상류 하천 바닥을 파서 물길을 내고, 이래저래 정비 중입니다.
여태 대체 뭘 했냐고 물어보면 참 할말이 없습니다.
이제와서 지하수 관정같은 보조수원 개발에, 물길 정비... 급하게 이것저것 닥치는대로 해 봤자,
돈과 시간만 비효율적으로 들어갈 뿐, 사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엔 크게 부족할 겁니다.
결국 이 시점에 딱 하나, 유일하게 남아있는 '그나마 좀 먹힌다' 싶을 해결책...
라스트 솔루션의 키를 쥐고있는 강릉수력발전소입니다.
(근데 이거, 촬영해도 되는 시설인가요? 이미 발전기도 다 철거했다고 알고 있는데...)
오봉저수지 아래에 위치해 있습니다.
여기서 약간만 더 동쪽으로 내려가면 발전수 방류구가 있고요.
그 방류구는... 태백산맥 넘어 서쪽의 3천만톤 규모의 물이 저장된 도암댐으로 연결돼 있는,
꽤 큰 도수터널의 끝부분입니다.
그러니까, 산 너머 취수탑 밸브만 열면, 3천만톤 물을 즉시 끌어올 수 있다는 겁니다.
쉽죠?
근데... 25년 전쯤 '똥물' 그만 내려보내라는 강릉쪽 반대로, 도암댐 물을 차단해 버렸습니다.
발전소는 이후 운영 중단된채로 망했고요.
도수터널은 아직 그대로 남아있는지라, 물을 끌어다가 강릉에 공급할 수는 있습니다.
당장 사정이 급하니, 물 다시 끌어오는데엔 관련 기관이든 다른 지자체든 협조해 주겠다고 합니다.
방류구가 저수지쪽이 아니라 훨 아랫쪽으로 나 있어서, 공사를 해야하는 문제가 남아 있습니다.
암만 신속하게 시작해도 몇 주는 걸릴법한 일이라, 시작하려면 빨리 해야 합니다.
근데 오늘도 수질 적합여부 뭐시기 시민 의견 수렴이 어쩌고 하고 있습니다.
당장 변기물도 못 내려서 내 집에 똥물샘이 생기더라도,
'1급수 똥물'은 못 받겠다는 아름다운 마인드... (검사결과 1~2급수 판정 났거든요...)
덜 급한거죠, 아직도?
이 사단이 난 이유 세 번째....
동네 꼬라지 보면, 그냥 날만한 사단이 난 겁니다.
[10]
12345678901 | 15:56 | 조회 0 |루리웹
[6]
honGGoony | 16:04 | 조회 840 |SLR클럽
[4]
요시키군 | 16:07 | 조회 0 |루리웹
[23]
풍기위원 | 16:06 | 조회 0 |루리웹
[6]
| 16:03 | 조회 0 |루리웹
[36]
루리웹-1098847581 | 16:03 | 조회 0 |루리웹
[7]
바람01불어오는 곳 | 16:01 | 조회 0 |루리웹
[14]
루리웹-1968637897 | 16:01 | 조회 0 |루리웹
[58]
사격중지 | 16:01 | 조회 0 |루리웹
[10]
루리웹-1355050795 | 15:59 | 조회 0 |루리웹
[11]
The Libertines | 15:52 | 조회 0 |루리웹
[11]
파괴된 사나이 | 15:53 | 조회 0 |루리웹
[27]
0등급 악마 | 15:59 | 조회 0 |루리웹
[25]
라시현 | 15:55 | 조회 0 |루리웹
[9]
대유쾌마운틴 | 15:57 | 조회 445 |SLR클럽
할말이없네예 ㄷㄷ
고생 많으십니다.
얼른 비가 충분히 내리거나,
수로를 열거나, 해결 좀 되길 바랍니다
바로 밸브만 연다고 되는건 아니었군요.
그래도 그게 효율적인 답일거 같은디...
그넘의 기우제...ㅉ
시장이 일을 할 생각을 안하니 고생은 시민들 몫이네요.
이번에 답이 나오기를...
똥은요? +_+;;;;;
시장이 꼼수 부리는데
시민들 삶의 기본 생존권은 보장하고
정치질해야지
존나 무능하고 이기적인새키
비오면 시징 찬양할걸요?
생각없이 2찍만 해대는 동네에서 고생이 많습니다.
이 사달을 만든 시장을 보고도 다음에 2찍이 되면 강릉은 그냥 그렇게 살아야 됩니다.
주민들은 아직도 이재명 욕하는가요?
왠만한 기자 싸다구 날려도 될 현장감 넘치는 기사네요.
지난 폭우때 상수관 쓸려 터져서 4일인가5일 단수 됐을때도 생수로 샤워하고 변기물 내리고 불편한게 만 저만 아니었는데...고생 많습니다!!
어딜가던 화장실이 진짜 헬그자체...
도암댐 발전은 멈췄군요..얼른 비가 와야 할텐데...
어제도 헬기들 동원해서 오봉저수디로 물 옮기던데
이게 언발에 오줌누기 보다 못한 수준이라
그리고 조금 규모는 직지민 사기막 저수지(사천 저수지)도 급수관 있다던데. 활용 못하는지 귱금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