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게 실시간 커뮤니티 인기글
종합 (4491802)  썸네일on   다크모드 on
AUBREY | 25/09/04 20:10 | 추천 28 | 조회 8

[유머] 왜 문사철은 한 세트인지 알아보자 +8 [10]

루리웹 원문링크 https://m.ruliweb.com/best/board/300143/read/72168124

왜 문사철은 한 세트인지 알아보자


왜 문사철은 한 세트인지 알아보자_3.png




오늘은 취업이 안되는 3대 전공


문사철이 어째서 한 세트인 것인지 간단히 알아보자





왜 문사철은 한 세트인지 알아보자_1.jpg


E.H. 카




많은 유게이들이 문학이나 철학보다는 역사가 익숙할테니

역사 이야기로 시작해보자



예전에 사람들은 역사를 수학이나 과학처럼, 명백하게 밝힐 수 있다 생각했다.


예를 들어, 이순신 장군의 명량대첩에 대해 다뤄본다 치면,



사람들은 1차 사료인 조선왕조실록이나 난중일기 등을 모아 비교해가며


가능한 객관적인 진실, 과학적이고 검증 가능한 팩트만을 도출하려했다.





왜 문사철은 한 세트인지 알아보자_5.png



그러나 시간이 흐르고 등장한 포스트모던 역사학은 조금 입장이 다르다.



포스트모던 역사학은 사실 그 자체를 초월해


그 사건이 지금까지 어떻게 기억되었고, 우리 사회에 어떤 의의가 있는지


또 권력과 이데올로기에 의해 어떻게 다루어지는지를 탐구한다.




진짜 러프하게 말해, 포스트모던 역사학은


명량대첩이라는 400년 전 사건이 우리에게 대체 뭔 의미가 있는지를 탐구한다.




명량 대첩이 우리에게 단순히 역사적 대승일 뿐인가? 그렇지 않다.



명량 대첩은 한민족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고취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반복되어온 상징적인 전투다





왜 문사철은 한 세트인지 알아보자_6.png


롤랑 바르트




역사에서 은유와 담론, 텍스트 너머의 진실을 포착하려는 이러한 움직임은


재미있게도 문학 비평의 문제 의식을 공유한다.



후기 구조주의 문학 비평이 신선놀음인 줄 아는 사람들이 많은데


실상은 아주 몹시 매우 존1나리 중요하다.







왜 문사철은 한 세트인지 알아보자_7.png




평생 추위와 눈이라고는 모르는 아프리카 사람에게


유부녀 설녀 쩡을 보여준다 생각해보자



이 쩡에 나오는 '설녀'라는 요괴가 현실적으로 다가올까?


'?? 얼어죽을 만큼의 추위? 눈?? 설?산? 그게 뭔데 씹덕아' 할 것이다.



이렇게 후기 구조주의 문학 비평에 의하면


같은 텍스트라도 읽는 주체에 따라 얼마든지 그 내용이 다르게 독해될 수 있다





텍스트는 단순히 의미를 전달하지 못한다.


그것은 인간을 유혹하는 미끼 같아서, 끊임없이 잡힐 듯하면서도 끝내 미끌어져, 우리에게 잡히지 않는다.



이게 데리다가 주장한 차연 개념이다.




역사도 마찬가지다. 200년쯤 뒤, 명량대첩이 어떤 의미로 사람들에게 읽힐지 아직 아무도 모르는 거다.


우리는 지금의 사회, 지금의 사상, 지금의 한계를 통해 이야기를, 역사를 해석하고 사유한다.






왜 문사철은 한 세트인지 알아보자_8.png




또 한국에 엄청나게 많은 호랑이 설화들에 대해서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 가능하다.



국토의 70%가 산이라 어쩔 수 없이 산과 밀접하게 관계했던 조상님들에게

호랑이는 단순한 동물이 아니라, 마주치면 죽는 말 그대로의 재앙이었다.


한국의 호랑이 설화는, 호환에 시달려 온 조상님들의 생활과 크게 맞닿아 있다.



한국의 이런 지리적, 생태적 환경을 모르는 외국인들에게 호랑이 설화가 괴담에 불과하겠지만


조선 사람들에게 이토록 호랑이 설화가 많은 것은 현실의 은유이자 경고, 생존의 편린이다.



그것을 아는가 모르는가 차이가


같은 호랑이 설화를 접하더라도, 그 느낌을 크게 달라지게 하는 것이다.





왜 문사철은 한 세트인지 알아보자_2.jpg



그래 뭐...역사와 문학의 관계는 대충 알겠다.



헌데 둘 다 글로 쓰여진 텍스트 아닌가?



인간은 텍스트를 어떻게 받아들이는가?


글과 언어에 대한 사유가 필요하지 않을까?






왜 문사철은 한 세트인지 알아보자_10.png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




그렇다. 그리고 거기부터는 철학의 영역이다.



나는 행복한 사람들에게 질문거리를 들고 오는 오리가 되고 싶지 않기에 여기서 글을 접는다.



[신고하기]

댓글(10)

이전글 목록 다음글

1 2 3 4 5
제목 내용